본문 바로가기
투자이야기

[TIL] 캔들

by nomaf 2023. 12. 9.

오늘의 투자 공부 캔들

두둥탁~!

 

1. 장대형

장대형은 몸통이 긴 형태를 장대형이라고 하는데 만약 장대형이 매물대를 뚫으며 나왔다면 추세를 확정했다. 라고 해석 할 수 있다.

 

2. 도지형

도지형은 아래 위 꼬리가 길고 몸통은 작은 형태로 시장이 방향을 못잡고 매수와 매도 힘이 비슷하다. 라고 해석 할 수 있다. 힘의 균형이 이뤄진 것으로 이 후 한 방향으로 추세 나올 가능성이 있음.

 

3. 망치형

꼬리가 아래로 길면 망치형, 위로 길면 역망치형으로 일반적으로 망치형의 경우 상승의 신호로, 역망치형의 경우 하락의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위 정리가 골자인 것 같다.

대체로 수급의 방향성을 해석하는 도구로 사용되는 것 같은데 이런 패턴은 너무 시장에 파다하게 퍼져서 맞지 않을때가 많다는 말을 들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하나?

(내 직관은 아니고 유튭보고 배운거임)

타임 프레임을 쪼개서 보면 된단다.

일봉 기준으로 역망치형이 나왔다고 무턱대고 하락하겠군. 이 아니라 4시간 봉, 1시간 봉 등으로 타임프레임을 쪼개보면 조금 더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주식에서 빠질 수 없는 세력 어쩌구의 접근법을 사용해서 보면

역망치형은 세력의 매집 흔적이라고 볼 수도? 있다고? 한다.

조건은 주가의 저점에서 거래량을 동반한 윗꼬리 캔들은 세력의 매집의 흔적으로도 해석 할 수 있다.

포인트는 주가의 저점, 거래량 동반 요 두개 인듯.

 

 

차트게임으로 실습을 해보려고 했는데 100턴밖에 안되어서 사실 제대로 써먹히는 거 같지는? 않았다(몇판안함)

그래도 하면서 어라..? 이게 바로 매집이라는 건가..? 싶은 건 있었다

사진에 형광펜 친 부분인데 저기가 딱 100턴부근이여서 그 뒤 상황은 실제 차트에서 한번 봐봤다.

 

배운대로 저점에서 거래량이 터지면서 올랐다 내려온 부분은 저 세 부분인데 첫번째 동그라미가 바로 차트게임에서 어라? 했던 부분이였다.

 

결과적으로 오르긴 했었는데 저 매집의 흔적? 이라고 하는 부분 뒤로 하락이 있었어서 내가 만약 라이브로 저 상황에 맞닿드렸다면..?

응 개미엔딩~~(대충 가장 낮을 때 팔고 울었을 거란 뜻..)

 

캔들을 찾아보다 보면 이런식으로 뭔가 세력이랑 엮여서 나오는 경우도 많고 그래서 차트게임으로는 사실 뭔가 적용해보기가 쉽지않았다.(그냥 매집 어쩌구 세력 어쩌구에만 집중해서 그런듯..아니? 그냥 지금 집중력이 없어서..ㅜ.^)

 

근데 차트게임으로 공부하려다 보니 느낀건데 저 시점에서 지수 그래프나 분봉까지 볼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보통 차트로 투자하다 보면 일봉, 시간봉, 분봉 다 보게 되던데 차트게임은 하나의 봉으로만 할 수 있는게 좀 아쉽?

'투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콜로마기 투자매매법  (2) 2023.12.11
[TIL] 캔들 2트  (4) 2023.12.10
[TIL] 손익비  (2) 2023.11.19
[TIL] 거래량  (4) 2023.11.18
[23.07.04] 오늘의 차트게임  (2) 2023.07.04